Wednesday, April 25, 2012

용서는 정말 좋은 것일까? 복수는 달콤한 것일까?


 용서는 정말 종교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바람직한 것일까? 그러면 복수는 달콤한 것일까?

 답부터 이야기하자면 용서는 바람직하지 않고, 복수는 달콤하지 않다.

 1. 우선은 영화이야기다.

 영화 "오늘"은 송혜교 주연, 이정향 감독이 연출한 2011년 작품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송혜교의 빅팬은 아니고 (그렇지만 그녀가 순풍 산부인과에 나왔던 그떄의 "충격"은 다른 내 학번 친구들과 공유하고 있다) 미술관 옆 동물원 같은 작품을 좋아하지 않기에, 이 영화는 나의 선택은 아니었다. 와이프가 추천한 이 영화에서 오늘할 이야기인 "복수"와 "용서"가 나온다.

영화 "오늘"의 대강의 이야기는 (이하는 Daum 영화에서...)

"자신의 생일날 약혼자를 오토바이 뺑소니 사고로 잃은 다큐멘터리 피디 다혜. 용서하면 모두가 행복해질 거라는 믿음으로 가해자 소년을 용서하고 1년 후 용서라는 주제로 다큐멘터리 기획, 다양한 사건의 피해자들을 찾아 다니며 촬영을 시작한다. 촬영이 진행될수록 자신이 용서해준 17살 소년을 떠올리게 되는 다혜. ‘착하게 살고 있겠지’ 라는 생각으로 담담히 촬영을 진행하던 중 우연히 전해들은 그 소년의 소식에 커다란 충격에 빠지게 되는데…"

라고 되어 있는데 요약하자면


-종교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용서"를 하고자 사고친 뺑소니 소년을 용서해 주었더니, 알고보니 그 소년은 부자집 자식으로 실력좋은 변호사가 붙은 아이로, 쉬운 용서 이후 대담하게 오토바이 운행을 해서 추가로 사망자를 더 내었더라는 이야기이다-


종교에서는-특히 기독교나 천주교 계열에서는 (혹은 이 영화상에서만 인지는 모르겠지만)-용서를 숭고하고 바람직한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이 영화에서도 천주교/기독교 계열의 종교인들이 용서를 "강요"하는 듯한 장면이 나오는데, 이것에 대해서 화두를 던지는 것이 이 영화이다.

나는 기독교/천주교 신자는 아니다. 그렇지만 내가 예수 그리스도를 좋아하는 것은 그가 어려운 내용을 굉장히 쉽게 풀어서 이야기해주는 "대가"이기 때문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그의 말중의 하나인 "카이사르의 것은 카이사르에게로..."를 생각하며 이 화두를 풀어보자 (즉, 예수/부처가 아닌 시장통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맞는 답을 찾아 보자는 것이다).

화두 : "용서"는 바람직한 것일까?

답 : 아니다 (적어도 땅위에서 사는 우리에게는 아니다.)

2. 왜 땅위에서 용서는 바람직하지 않을까 : 미국 사람들은 실험하기를 좋아하지...

"Tit for Tat" 전략이라는 것이 있다. 1980년도에 반복된 죄수의 딜레마를 위한 게임 이론에서 고안된 전략인데 (이 부분은 게임 이론과 경제학등의 기초가 필요한데...이해에는 주요한 것이 아니므로 일단은 패스한다), 우리가 사는 일상생활에서 나에게 "사기치는 놈" "피해를 주고도 유유자적하게 잘 사는 놈" 그리고 그렇게 거창하지는 않더라도 회사나 조직생활에서 "뒤통수를 치는 놈"들에게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게임이론으로 한번 생각해 본 것이다.

이전략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상대방이 먼저 자극하지 않으면 일단 "협력"한다.
("협력"한다는 의미는 같이 비즈니스를 하거나 신뢰를 한다는 말이다)
2. 만약 상대방이 배신을 하면 반드시 "보복"/"복수"를 한다.
3. 보복한 이후 상대방을 다시 만나면 다시 일단 "협력"한다.
(비즈니스에는 영원한 적은 없다. 필요하면 원수와도 손을 잡는다).
4. 상대방과는 두 번 이상의 만날 기회가 있어야 한다.


이 전략을 송혜교의 경우에 적용해 본다면

송해교는 이 전략에서 2번 "보복"/"복수"의 부분이 빠져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교통사고와 같은 불법행위/"torts" 문제에서 서로간에 교통 규칙을 지키리라는 "선의"가 "배신"을 당했다면 이에대해 "보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보복은 민사적인 제재이던 형사적인 제재이던 다 필요하고, 그 이후에 상대방을 용서하라는 것이 이 전략의 내용이다. 소위 말하는 "청동룰"과 같은 것이다.

청동룰("Bronze Rule")은 "Do unto others as they have done unto you"-"남이 너에게 하듯 그들에게 하라"라고 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방금 말한 전략과 같은 것이다. (황금률은 "절대 보복을 안해"-"I would never pay to harm another!"정도 되겠다).

왜 청동룰이 필요한가? 그 이유는 우리 모두가 부처나 예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내가 상대방의 배신에 복수를 안하게 된다면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쉬운 사람"이라는 시그널을 보내게 되고, 어느 순간 본인이 다른 사람들에게 이용당하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직장내에서의 인간 관계에서도 "묵묵히 일만하는 사람"은 성실하고 듬직하다는 평가를 받는 것 보다는 상사에게나 동료 심지어는 부하직원에게도 이용당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아니라고 하시는 분은 한번 주위를 잘 둘러 보시라. 본인이 이런 "나이스 가이"일 수도 있다). 때로는 값싼 "애정"보다는 "경외"가 더 필요한 것이 비즈니스 세계이다.

종교에서는 모든 인간은 근본적으로 선하고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물론 이 이야기는 맞을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우리는 상대방이 이런 사람인지 아닌지 알 수 없기에 "이기적이고도 합리적인 인간"을 상정하고 "배신"에는 "복수"라는 시그널을 보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이 모든 사람이 상대방을 전적으로 이해하는 천국이 오기까지 "땅위"에서 이루어 져야 하는 일이다.


3. 복수는 해야한다. 단 그것은 달콤해서는 아니다.

복수자체는 달콤하지 않다. Kevin M. Carlsmith, T imothy D. wilson, 그리고 Daniel T. Gilbert는 "The Paradoxical Consequences of Revenge"라는 논문에서 복수는 달콤하지 않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2007년에 있었던 조승희의 버지니아 테크 살해사건을 언급하면서 시작하는 이 논문은 복수를 한 사람들이 복수를 하고자 하였지만 안한 사람들보다 더 기분이 나빠졌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즉, 복수는 기분을 좋게 만들지 않는다. 오히려 복수를 하기 직전까지 에너지를 줄 뿐, 복수를 한 후에는 기분이 나빠지게 된다.

그렇지만, 내가 인생을 편하게 살기 위해서, 또 다시사기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 (사기를 당하는 사람을 보면 계속해서 당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사기를 당한 사람이 "soft"하다는 평가를 얻기 때문이다-친구들간에 돈을 빌리는 관계를 생각해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그리고 도와주면서도 기분이 나쁘지 않기 위해서는 "복수"를 해야 한다.

"복수"는 해야 한다. 단 그것은 달콤해서는 아니다. 그것은 내가 인간답게 존엄하게 살기 위해서다.

p.s. 복수를 한 후에, 그 사람을 내 마음속에서 지워버리는 것이 가장 좋은 길이다. 복수를 하지 않고 억지로 용서를 한답시고 있다보면, 내 마음은 가해자에게 다 삼켜져 버리게 되는 것이다.

살다보면 배신이라는 첫번째 화살은 맞을 수 있지만, 가해자에 대한 억지 용서로 인한 집착은 두번째 화살이고 이는 피할 수 있는 것이다.

잔인하고도 아름다운것이 이 세상이고, 우리는 그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Wednesday, April 18, 2012

부자가 되는 상상으로 부자가 될 수 있을까?_화이트보드를 사라!!!





부자가 되는 상상으로 부자가 될 수 있을까?_화이트보드를 사라!!!

몇해전 베스트 샐러였던 "시크릿"을 보면, 저자는 자기가 원하는 모습을 시각화 하면 그 모습이 결국 이루어 진다는 내용을 말하면서, 이는 수세기 동안 부자들과 몇몇 사람들간에만 전해 내려오는 "비법"이라고 이야기하는 장면이 나온다.

예컨대 부자가 되고 싶은 사람은 부자가 된 모습을 "시각화"해서 매일 매일 떠올리면, 몇년 후에는 그 모습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부자의 시각화"를 좀더 풀어 이야기하면, 아침에 화려한 침대에서 일어나서 좋은 집에서 나와 자기가 원하는 "드림카"를 타고 원하는 일을 하는 모습을 머리속에서 계속 그리면, "우주가" 도와줘서 결국 원하는 모습을 얻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여기까지만 들으면 시크릿에서 전하는 이야기는 도저히 믿을 수 없는 이야기이고, 어떻게 이런 책이 베스트 샐러였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들도 많을 것이다. 그렇지만, 불교의 수행법에 보면 부처의 좌상을 놓고 매일 그 모습을 바라보는 수행 방법이 있는 것을 보면 이런 방법이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이 아니다. 즉 불교에서는 자신이 닮고 싶은 최종적인 모습-여기서는 깨달은 "부처"의 참선하는 좌상-을 눈앞에 두고 기억 속에 그 모습 하나하나를 새기는 수행 방법이 있는데, 이것과 "시크릿"에서 이야기하는 수행 방법은 근본적으로는 같은 것이다.

부처의 모습-좌선하는 발의 자세, 팔의 유연함, 눈을 감고 열반의 세계를 추구하는/혹은 느끼는 부처의 표정을 보면서 궁극적인 목표를 "시각화"해서 하나하나 기억한 이후에, 최후에는 눈앞에 부처의 좌상이 없이도 그 모습을 언제나 떠올릴 수 있고, 그 모습을 항상 마음에 지니게 되면 결국 그와 같은 모습으로 된다는 것이다.

멀리 부처의 이야기까지 나왔지만, 만약 당신에게 종이와 연필을 주고 인생에서 이루고 싶은 것을 3가지 이내로 써 보라고 한다면-혹은 되고 싶은 인간상을 묘사해 보라고 한다면, 당신은 쉽게 그것들을 쓸 수 있을까? 내 경우에는 한달이 걸렸다.

내 경험을 이야기하자면, 나는 1년 전 시크릿과 부처의 수행법에 관한 책을 읽고 난 후에 화이트 보드를 인터넷에서 주문하였다. 화이트 보드-마커로 글을 쓸 수 있고 지울 수 있는 하얀색 칠판-를 컴퓨터를 하면 바로 보이는 위치에 걸어두고, 내가 이루고 싶은 것들을 적기 시작하였다. 그 리스트가 짧아지고, 3가지 이내로 줄어드는데 한달이 걸렸다.

지금 1년이 지난후, 내가 화이트 보드에 내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적고 매일 그것을 쳐다보며 (컴퓨터를 매일 안할 수 없으니 싫어도 쳐다본다) 그 모습을 그린 결과는, 예상했던 것보다도 적어놓은 그 목표에 가까이 가게된 것이었고 나는 화이트 보드가격의 본전을 뽑고도 남았다고 생각한다.

혹시 "시크릿"이라는 책을 안 읽었다면 한번 읽어 보시라 (나는 시크릿 저자와 전혀 상관이 없는 사람이다). 얇고 가벼워서 별 내용이 없을 수도 있고, 한번 읽고 나면 다시 읽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매일 쳐다볼 수 밖에 없는 위치에 화이트 보드를 걸고 본인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인생을 걸고) 3가지 이내로 적어 보시라. 생각보다는 쉽지 않을 것이고 힘든 과정이지만, 한달후에는 무엇이 중요한지 무엇이 부차적인 것인지 느끼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매일 그 목표들을 보면서 1년을 지내 보면 인생이 조금은 변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아니면, 적어도 내가 인생에서 이루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알았으니 화이트보드 가격은 뽑을 수 있을 것이다.

p.s. 내 방에는 화이트보드 외에도 드림카의 사진이 있다. 스티브 잡스도 어렸을때 갖고 싶었던 B&O 오디오 제품의 사진을 붙여 놓고 매일 보았다고 하니, 차를 좋아하시는 분은 시도해 보시길. 단, 붙여 놓고도 "드림카"라는 느낌으로 나와는 관계없는 차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차 "안"에 내가 정말로 있는-가죽의 느낌, 핸들의 느낌, 차문의 무게감을 상상하면서 그 그림을 바라 보아야 한다.

이하는 이에 대한 월스트리트 기사 하나..
http://realtime.wsj.com/korea/2012/04/19/부자가-되는-상상으로-부자될-수-있을까/?mod=WSJBlog&utm_source=twitterfeed&utm_medium=twitter

Monday, April 16, 2012

왜 미국에 있는 아시안-아메리칸들은 아시아 커뮤니티안에서 점점 더 많이 결혼하는 것일까? (그리고 왜 나는 아시안들 사이에서 더 편안할까?)



왜 미국에 있는 아시안-아메리칸들은 아시아 커뮤니티안에서 점점 더 많이 결혼하는 것일까? (그리고 왜 나는 아시안들 사이에서 더 편안할까?)

얼마전에 학교-로스쿨에서 부터 알던 일본 커플의 집에 초대를 받아 간 일이 있었다. 최근에 하와이에서 결혼식을 올린 그 커플은 하와이 결혼의 추억 (일본의 처자들은 하와이 결혼에 대해서 환상/소망을 갖고 있다고 하루키 책 어딘가에서 읽은 기억이 나는데...)을 이야기 하였고, 우리는 이런저런 미국 살이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아시안으로서 미국 살이의 애환중 하나로서 등장한 화제가 "아시안 끼리의 편암함"이라는 느낌이었다. 비록 국가가 다르다고 할지라도, 나를 비롯해서 그 일본인 커플 모두는 백인/흑인에 비해서 아시아 인종의 미국인에게 더욱 편안함을 느낀다고 서로의 느낌을 확인하였었는데, 그 당시에 상당히 인상적이었던 기억이 난다.

여기서 "아시안끼리"라는 말은 반드시 한국인/한인끼리가 아니라 태국인/일본인들에게도 편안함을 느낀다는 말이다. 일본인은 한국인과 문화가 비슷해서 그렇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태국/필리핀 등지의 동남아시아는 우리와 문화가 비슷하다고 하기는 어려움에도 역시 편안함을 느낀다는 점이 대화 당시에도 신기했던 기억이 난다.

나의 경우에도 한국인을 제외하고 로스쿨 출신 베프는 일본계이고, 와이프의 경우 영어 클래스의 베프는 태국 출신 아줌마가 아닐까 한다 (아줌마들의 세계는 여전히 아저씨들에게 어려운 세계이지만 적어도 부부싸움/쇼핑 갈등/ 자녀 교육에 대한 갈등은 적어도 아시아쪽에서는 공통이라는 것을 확인한 것도 이번 유학의 큰 소득 중 하나이다).

이하에서 인용하는 월스트리트 저널의 칼럼은, 이런 나의 "편안함"을 좀더 자세히 이야기 한 것으로, 아시아인끼리의 "편안함"-비록 정확히 같은 문화 (한국/일본/대만/필리핀/태국)는 아니라 할지라도-이 아시아인들끼리의 결혼을 촉진한다는 결론을 끌어 내고 있다.

예전부터 공감하고 있던 내용이라 좀더 피부에 와 닿는 설명이고, 자국 "문화"를 수호하기 위해서라고 하는 다른 매체의 설명보다는 보다 실제적이라는 생각이다. 자녀의 "한국어" 실력을 위해서, 그리고 "한민족의 얼"을 지키기 위해서 한국계와 결혼해야지...하는 마음은, 적어도 나같은 토종 한국인 아저씨에게는 설득력이 없다 (혹은 내가 게으르고 자기중심적인 아저씨이기 때문일 수도 있는데, 이것은 내가 사랑하는 "나의 정체성"에 관한 부분이므로 아쉽게도 어쩔 수 없다).

결론 : 외국에서 공부하시는 분들중에 아시아인들끼리 편안함을 느끼시는 분들-괜히 "영어" 때문이라고 자책하지 마시고 "문화"때문이라고 편안히 생각하셔도 좋다는 이야기이다.

http://blogs.wsj.com/speakeasy/2012/04/16/the-real-reason-why-asian-americans-are-outmarrying-less/